본문 바로가기
사회복지정보

사회복지실천의 개인(체계)과 문제

by 짱구네 아빠 2023. 6. 12.

1. 사회복지실천의 방법론

사회복지실천의 3대 방법론은 사회복지실천의 개입대상인 클라이언트 체계 수준에 따라 개인을 대상으로 한 개별지도 혹은 개별사회사업, 개인대상 사회복지실천, 집단을 대상으로 한 집단지도,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한 지역사회조직으로 구분한 것이다. 개입대상별 특징과 이에 대한 개입에 대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2.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사회복지가 전문화되기 훨씬 이전, 인보관에서 활동하거나 또는 자선조직협회를 통해 우애방문가로 활동하던 사회복지사들은 개인, 가족, 집단,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원조서비스를 제공하였다.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 구체적인 실천기술보다는 단순히 상식적인 수준에서 개별 상황에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활동들을 수행하였다. 이에 메리 리치먼드가 사람들을 돕는 개별사회사업을 조직화하고 이를 반복 훈련, 가르침으로써 개별사회사업 혹은 개인을 대상으로 한 실천이 이루어지게 되었다.

 

 

 

사회복지실천의 개념은 리치몬드 정의와 펄만의 정의로 구분할 수 있다. 리치먼드의 정의에서는 개별사회사업이란 '개개인, 그리고 개인과 그 사회환경 사이에서 의식적인 조정을 통해  개개인의 인격발달을 이루어 가는 과정'이다. 개인의 욕구충족과 인격개발을 목적으로 한 미시적이고 치료적인 과정임을 강조한다. 또한, 개인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영향을 인식하며 개인의 부적응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강조한다.

 

펄만의 정의에서 개별사회사업이란 '사회적 기능 수행 중 나타나는 개인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사회복지기관 또는 전문기관에서 활용하는 하나의 과정' 이다. 개별사회사업의 목적은 치료가 아니라 현재의 문제에 대처하는 개인의 능력을 향상하는 것임을 강조한다. 펄만은 사회복지실천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네 가지로 요약하였는데, 4P는 문제, 사람, 장소, 과정이며, 이후 두 가지를 추가하여 제공물 또는 제공자원을 제시하였다.

 

 

 

3. 개인 대상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실천의 초기 단계에서 사용된 개별사회사업은 개인의 부적응에 대한 치료적 개입을 하였다. 사회문제에 대한 거시적 접근보다는 개별화된 문제에 대한 적응에 초점을 두는 미시적 접근이 중심적이었다. 개인의 문제를 사회환경과의 관련성 속에서 삶의 문제로 이해하고 다양한 수준에 체계적으로 개입할 것을 강조하는 통합적 접근이 대두되면서, 개인 대상의 실천이라는 용어로 바뀌었고, 개입의 영억도 점차 다양화되고 확대되고 있다.

 

 

 

특징으로는 개인을 일대일 방식으로 도움으로써 개인 문제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예방보다는 치료적 입장에서 문제해결을 중시한다. 개인이 환경에 적응하도록 돕고 혹은 그들에게 불리한 사회 경제적 압박을 변화시키도록 돕는다.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초점을 두고 클라이언트와의 개별화된 원조과정을 진행한다. 클라이언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회복지사와 전문적 관계를 맺으며, 클라이언트의 사회복지사 간의 광계를 중요시한다. 다양한 모델과  개입방법을 적용하여 개인의 적응 변화, 개인과 환경과의 상호작용을 변화시킨다.